불화란
불교 신앙의 내용을 압축하여
그림으로 표현한 것으로서, 불탑이나
불상, 불경 등과 함께 불교신앙의
대상중의
하나이다. 불화는 그
만들어진 형태에 따라 벽화나
탱화, 괘불, 진영, 변상 등으로
구분할 수 있다. 불교 전래초기에는
벽화가 중심이 되었으나 이동이
불가능하여 차츰 시대가 흐르면서
이동이 가능한 탱화가 보편화
되었다. 불화는 쓰임새에
따라 장엄용, 교화용, 예배용
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.
조선시대
불화는 국가적인 억압정책으로
불교가 쇠퇴하지만, 일부왕실ㆍ사대부층을
비롯한 서민들의 후원아래 불화의
제작은 계속되었다. 제작은 금어
또는 불모라 불리는 승려들이
담당하게 되었으며, 다양한 종류의
불화가 제작되었다.
선암사
성보박물관에서는 1753년에 제작된
괘불(보물 제 1419호)을
비롯하여 105점에 이르는
다양한 불화를 소장하고 있다.
선암사는 한국불화조성의
큰 맥인 조계산화파가 활동했던
중심사찰로서 다양한 종류의 불화들이
제작되었으며, 대다수의 불화들이
당대의 수작으로 평가받고 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