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 < 소장유물 < 상량문  

내용에 따라 창건상량문, 중수상량문, 중건상량문 등으로 나뉜다.
원래 상량대에 간략하게 붓글씨로 썼지만 궁실, 관아, 사원 등에서는 써야 할 내용이 많아 따로 상량문을 써서 상량대에
홈을 파고 넣어 두었다.
종이 대신 비단에 적기도 하며 대나무나 나무.구리 통 등에 넣는다.
통의 위아래에는 다음 중수 때 보태 쓰라는 의미로 패물이나 부적을 함께 넣었다.
일반 집에서는 장혀 배바닥에 먹글씨로 써서 마루에서 올려다 볼 수 있게 하지만 공공건물에서는 마루도리 배바닥이나
받침장혀의 등덜미에 써서 결구(結構)하면 가려져 보이지 않게 하였다.

선암사에는 김조순의 조카인 김정균이 지은 대웅전중수상량문을 비롯하여, 총 24점의 상량문이 전하여 진다.
사찰의 상량문에는 사찰의 역사,  당 건물의 연혁, 당시의 승려, 건축물 등이 기록되어서 사찰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매우
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