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anguage
KOREA
ENNGLISH
JAPANESE
CHINESE
박물관
관람안내
소장유물
전시안내
유물검색
갤러리
연구실
HOME < 유물검색
검색조건 :
시대가 근대
현재분류결과 총
12
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.
2
/
2 페이지
▶
초와문망와
草花紋 望瓦 망와는 조선시대에 크게 성행한 마루기와의 한 종류로 치미나 취두, 귀면와와는 다르게 대부분 소규모의 건물에 사용되고 있다. 또한 조선시대 기와는 기능성이 강조되고 장식성이나 미관성이 약화되는 것이 전반적인 특징이지만 이 초화문 망와는 어느 정도 장식성이 가미된 것으로 파악된다. 윗부분은 해를 연상하듯 뾰족하게 굴곡을 주었으며, 와당 면
...
▶
해자명수막새
海銘 수막새 수막새는 암막새보다 조금 늦게 출현하고 있지만 암막새와 함께 통일신라 직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, 사용되었다. 조선시대의 막새는 그 하단부가 밑으로 늘어져 전통적인 막새형에서 벗어나고 있는데, 암막새는 장방형에서 역삼각형으로 변형되고, 수막새는 원형에서 종타원형으로 변형되고 있다. 또한 막새의 뒷면에는 기와를 제작할 때 사용한 마포의
...
▶
경운스님머루화
124. 경운스님 머루화 승가의 이상인 견성성불에 있음을 자신에게 확인하고 후학에게 아리는 법어화이다. 경운스님(1852-1936)이 입적하기 5개월 전에 절짐으로 사촌 조카인 만우 관순스님께 친히 그려준 것이다. 제자 석우 기영스님이 박물관 건립 후 기증했다. 그림 상단의 오른쪽과 하단의 왼쪽에 쓴 글씨는 85세 때 쓴 것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돌로 힘과 기교가 느껴
...
▶
방한암스님선시
125.방한암스님 선시 근대,종이 95.0*29.3 방한암(1876-1951) 스님은 강원도 화천 태생으로, 27년 동안 강원도 오대산 상워사에서 수행과 교육으로 선풍을 떨친 근세불교의 유명한 선승이다. 1941년 대한불교 조계종 출범 때 초대종정을 지냈고, 그 후 4차례 종정을 역임하였다. 만우 관순스님의 법유물로 스님의 은상좌인 지허스님이 박물관에 기증한 것이다. 이 선
...
▶
범자병풍
127. 梵字屛風 1902년 紙本彩色 각각 세로 : 134 가로 : 50.5 ①啊(ā) ②唵(oṁ) ③囉(ra) ④馱(dha) ⑤佗(tha) ⑥摩(ba) 이 여섯 범자(梵字)는 조선후기의 일반적인 범자 자형에 비해 매우 생동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필(運筆)에 있어도 절정의 감각을 보여준다. 범자의 배열 순서는 종자음(種子音)인 ②oṁ이 장모음 ①ā의 뒤에
...
▶
조계산 송광사 선암사일원
송광사(松廣寺)는 조계산(曹溪山)의 북쪽 중턱에 위치하며 선암사(仙岩寺)는 남쪽 기슭에 자리잡고 있다. 송광사(松廣寺)는 우리나라 삼보(三寳) 사찰중의 하나인 승보(僧寳) 사찰(寺刹)로서 유명(有名)하거니와 선암사(仙岩寺) 또한 아도화상(阿道和尙)의 창건설(創建說)로 그 전통(傳統)을 자랑한다. 조계산(曹溪山)은 해발 889m의 그리 높지 않은 산(山
...
[이전 10개]
1
2
[다음 10개]
[유물 재검색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