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 < 유물검색  
 
검색조건 : 용도/기능이 의식구  현재분류결과 총 36 개의 유물이 검색되었습니다. 1 / 6 페이지
▶ 전 대각국사 금란가사
傳 大覺國師袈裟 고려시대 선종(宣宗)이 대각국사(大覺國師, 1051-1101) 의천(義天)에게 하사한 것으로 전해오고 있는 가사로 가사 뒷면에는「高麗宣宗賜于大覺國師 北宋元祐2年丁卯」라는 묵서(墨書)가 있다. 가사는 25조의 장방형으로 영자(纓子)가 위에 4개 양옆에 한 개씩 모두 6개 달려있다. 가사의 구성은 일단사장(一短四長)과 사장일단(四長一短)으로 반복된 천을 ...
▶ 쌍용문가사
雙龍紋袈裟 쌍용문가사는 조선 23대 순조(純祖, 재위기간 1800-1834)임금이 하사한 곤룡포를 가지고 만들었다고 구전되는 가사로 뒷면에는 ‘擎雲’ ‘擎雲贈曾孫宗泫’이라는 묵서가 있다. 가사는 9조의 장방형이며 영자(纓子)는 위로 한 쌍 달려 있다. 가사의 구성은 일단이장(一短二長)과 이장일단(二長一短)으로 반복된 천을 제 5조의 일단이장(一短二長)의 주폭을 중 ...
▶ 용문탁의
龍紋卓衣 탁의는 사찰에서 법상(法床)의 위를 덮거나 옆으로 쳐서 두르던 용도의 직물을 말한다. 본 용문탁의는 장방형으로 전체구조는 상단과 하단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. 탁의 하단은 2경꼬임의 소사(素紗)를 바탕직물로 하여 전면에 자수를 놓아 문양을 시문하였다. 지문(地紋)은 연갈색의 이합꼰사로 납사수(納紗繡)를 놓아 연속된 마름모꼴문양을 시문하였고 ...
▶ 순치14년명 대원사 부도암 동종
順治 14年銘 大原寺 浮屠庵 銅鐘 선암사 대각암 동종은 조선시대(1657년, 효종 8, 順治 14)년에 대원사에서 조성된 동종으로 겉면에 묘사된 하대의 당초문이나 보살입상 등 사실적인 기법이 뛰어나고 제작의 절대연대를 알 수 있어 가치가 있다. 현재 성보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으나 전에는 선암사 대각암에 소장되었던 종이다. 이 범종은 그리 크지 않은 규모로서 몸 ...
▶ 건륭2년명 동종
乾隆 2年銘 銅鐘 종신에 ‘건륭이년정사이월일 선암사종 편수 가선김성원(乾隆二年丁巳二月日」 仙巖寺鐘」 片手 嘉善金成元) 이란 명문이 있어 조 13년(1737)에 김성원이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. 이 동종은 용뉴와 종신으로만 이루어졌고 상대와 하대는 생략되었다. 용뉴는 쌍용이며 상대부분 원좌내에 범자가 있다. 종신에는 4좌의 유곽 사이에 보살입상이 있 ...
▶ 가경8년명 동종
嘉慶 8年銘 銅鐘 종신에 ‘가경팔년계해사 월일오십전중 종개조중구십근 시주치개(嘉慶八年癸亥」 四月日 五十殿中」 鍾改造重九十斤」 施主 致開)󰡑란 명문이 얕게 새겨져 있어 순조 3년(1803)에 치개란 사람이 시주하여 주조하였음 알 있다. 처음에는 선암사 오십전에 봉안되었다가 설선당으로 옮긴 종이다. 상대와 하대가 생략되고 용뉴 부분 ...
[이전 10개]1 2 3 4 5 6 [다음 10개]
[유물 재검색]